4차산업혁명기술116 4차산업혁명, 지문 크기의 전지 개발<펌> 지문 크기의 전지 사람 지문의 폭만큼 작아 전자 칩(chip)에도 일체화 할 수 있는 '초소형 슈퍼커패시터'가 개발됐습니다. 잉크젯 프린팅보다 수~수십 배 높은 정밀도를 갖는 차세대 프린팅 기법인 '전기수력학 프린팅' 기반의 칩형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제조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각 부품에 적용하면 독립적 구동이 가능해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이끌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진 삭제 지문 폭만큼 작은 단위전지. 출처: UNIST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상영 교수팀은 전자 부품들과 일체화할 수 있는 '칩 형상의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Microsupercapacitor)'를 개발했습니다. 제작과정을 프린팅 공정으로 단순화하고 프린팅 정밀도를 높여 부품 손상 없이 일체형 초소형 전원 시스템을.. 2020. 3. 25. 4차산업혁명, 국내연구진,코로나19치료용 항체.진단 연구결과<펌> 내 연구진, 코로나19 치료용 항체·진단 연구 결과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 치료용 항체·진단 관련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기존에 알려진 사스 중화항체 2개와 메르스 중화항체 1개가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결과를 예측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및 백신 개발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진 삭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되나. 출처: AdobeStock 사스 중화항체 2개, 메르스 항체 1개,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 가능 전 세계 연구진이 코로나19에 대항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및 진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 CEVI(신종 바이러스) 융합연.. 2020. 3. 24. 4차산업혁명, 한국 새로운 양자역학적 자성상태 발견<펌> 韓, 새로운 양자역학적 자성 상태 발견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양자역학적 자성 상태를 발견했습니다. 이전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자성과 직접 관련 없어 보이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양자 상이 숨겨진 자기적 원리에 의해 조절돼 발현될 수 있음을 밝힌 겁니다. 이는 향후 관련 물질 연구와 인접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진 삭제 새로운 양자역학적 자성 상태를 발견. 출처: AdobeStock KAIST 물리학과 한명준 교수 연구팀이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2차원 물질에서 전하밀도파(charge density wave)와 스핀밀도파(spin density wave)가 서로 얽혀 나타나는 독특한 양자 현상을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에.. 2020. 3. 23. 4차산업혁명, 2차원 소재로 양자 터널링 소자 개발<펌> 2차원 소재로 양자 터널링 소자 개발 2차원 소재를 이용해 실리콘을 넘어서는 양자 터널링 소자 개발됐습니다.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정문석 교수와 오혜민 박사 연구팀이 2차원 적층시료의 표면을 제어해 부성미분저항(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및 핫 캐리어 효과(Hot carrier effect)를 활용한 초저전력 및 고속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연구는 에 게재됐습니다. 양자 터널링 소자 : 양자역학적 공명 터널링 현상을 이용한 초전력 소자입니다. 부성미분저항 : 소자의 저항이 특정 영역에서 음수를 갖는 현상입니다. 핫 캐리어 효과 :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사이즈가 작아지면서 채널의 길이도 짧아집니다. 이 경우 전계는 커지고 이동하는 전자는 높은 전계를 받아 이.. 2020. 3. 22.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