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57 4차산업혁명, AI 사피엔스시대, 대구시 AI상담사 '뚜봇'<펌> [AI 사피엔스 시대] 대구시 AI상담사 뚜봇 "대구 맛집·날씨, 저한테 다 물어 보소" 시민 상담·신고 접수 '원스톱 서비스' 문의 지체 시간 없이 명괘하게 답변 '답변 못한 문장' 피드백으로 재학습 선별 진료소 등 '코로나19' 창구 역할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지체 시간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만큼 질문에 즉각적인 대답이 나왔다. 예상보다 똑똑했고 대답은 명쾌했다.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인공지능(AI) 상담사 '뚜봇'과 대화해 본 첫인상이다. 대구광역시 뚜봇은 시민 생활과 밀접한 민원분야에 대해 사용자 서비스 요청에 따라 민원 상담부터 신고 접수 처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I가 종합 민원 도우미로 활용된 사례다. 뚜봇에게 최대한 다양한 질문을 던져봤다. 뚜봇은 위치 정보.. 2020. 5. 5. 4차산업혁명, 교육불평등 심화,AI가 대안이다 기고>교육불평등 심화, AI가 대안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국내 사교육비 규모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통계청과 교육부가 발표한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9년 국내 사교육비는 전년 대비 1조5000억원이 늘어 약 21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21조원이라는 천문학적 금액도 놀랍지만 통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더 큰 문제는 따로 있다. 바로 교육격차다. 월소득 800만원 이상인 가구와 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사교육비 차이는 평균 5.2배, 서울과 지방 도시 사교육비 차이는 최대 2.5배까지 벌어진다. 비단 우리나라만 국한한 문제가 아니다. 미국도 교육업계 최대 이슈는 '불평등'이다. 2017년 출간된 '가능성의 상속'(Inheriting Possibil.. 2020. 5. 1. 4차산업혁명, [AI 사피엔스 시대]이승민 ETRI 박사 “AI 기술 중요해지는 시대, 국가 나서야”<펌> [AI 사피엔스 시대]이승민 ETRI 박사 “AI 기술 중요해지는 시대, 국가 나서야” 사진 삭제 “세계 각국 정부가 정책적으로 인공지능(AI) 기술 연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AI 기술이 향후 국가의 힘을 나타내는 주요 기반이 될 것이라는 방증입니다. 우리나라도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이승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박사는 AI 기술이 과거 세계 경제를 주도한 기술을 훨씬 뛰어넘는 가치를 지닌다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2018년 보고서에서 과거 정보통신기술(ICT)이 당시 세계 경제에 0.6% 영향을 끼친 반면에, AI의 수치는 향후 2배에 달하는 1.2%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1~3차 산업혁명 때마다 새로운 기술이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 많은 여파를 미쳤는데, .. 2020. 4. 25. 4차산업혁명, AI 반도체 1등 국가 도약--1조96억 정부사업 시작<펌> “AI 반도체 1등 국가 도약”…1조96억 정부사업 시작 SKT 등 28개 기관 과기정통부 과제 수행 “AI 반도체 1등 국가로 도약하겠다” 출처 입력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AI 국가전략이 가시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AI 반도체 1등 국가 도약을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 사업의 2020년 신규과제 수행기관 선정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기술개발에 들어간다고 4월23일 밝혔다.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의 규모는 2029년까지 총 1조96억원으로, 이 중 AI 반도체 설계 분야에만 2475억원이 투입된다. AI 반도체에 집중한 AI 국가전략 정부는 지난해 12월1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53회 국무회의에서 AI 국가전략을 발표했다. AI 국가전략은 선택과 집중에 초점을 맞췄다.. 2020. 4. 24.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