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차산업혁명190

4차산업혁명,미래인재 유형 4차산업혁명, 미래 인재 유형과 육성은 어떻게 해야 할까? 4차산업혁명의 이해 2. 미래인재 유형 1) 1970~1980년대: 'I'형 인재--1개 분야에 뛰어난 전문성을 갖춘 인재 2) 1980~2000년대: 'T'형 인재--일본 도요 타가 제시한 새로운 인재로서 단일 분야 의 전문성 이외에도 다양한 지식을 폭넓 게 갖춘 인재 3) 2000년대: 'π‘형인재---여러분야에 전문 성을 갖춘 인재 4) 2020년대: 'π+‘형인재---전문성과 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인재 (디자인에 의한 시각적 상상력을 매개로 기술에 의한 수리적 상상력과 인문학에 의한 서술적 상상력을 결합해 기술과 인문을 융합할 줄 아는 인재, 창의적 융합 형 인재), (예, 스티브 잡스, 마크 저커버그, 카카오톡을 만든 김범수 등) .. 2020. 2. 9.
4차산업혁명시대 미래인재 양성은 어떻게 해야할까? 4차산업혁명, 미래인재 양성정책과 교육 코드는 무엇인가? 4. 미래인재 양성 정책 1) SW.AI.빅데이터.사이버보안 등 지능화 기술 핵심 인재 4.6만명 양성(2022) -대학교육을 SW산업계 수요에 맞게 혁신하는 SW중심대학 확대(2017,20개 ->2019년 30개) -기존산업과 지능화 기술 융합 고급인재를 양성하는 ITRC개편 추진(2022) -빅데이터 전문가 및 데이터 과학자(2022년, 1만명), -사이버보안 인재개발원 설립(2022), 산학연계 정보보호 대학원(2019,10개) 2) 조선, 스마트공장, 디스플레이 등 주력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갖춘 전문 인력 양성(2022년,1.2만명) -조선. 해양플랜트-LNG연료추진선 설계, 스마트 선박 기자재 국제인증 교육 -스마트공장 운영·설계 .. 2020. 2. 8.
4차산업혁명, 미래 환경은 어떻게 바뀔까? 미래 환경변화 트렌드 -사회환경-가치, 지식창출 위한 휴먼네트워크 강화 -기업문화-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 변화 -고용환경-일자리양극화, 데이터기반 인적관리강화 -산업구조-자가 고용. 창조서비스업 증가 -노동환경-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환경 ​ 미래 일자리 핵심직무능력 *출처: 고용정보원(2016) -기본능력: 인지유연성, 창의성, 논리력, 문제인식감수성, 수리력, 시각화능력 -신체능력: 육체적 힘, 신체동작 정교함, 정확성 -업무내용역량: 능동적 학습, 구술표현력, 독해력, 작문표현력, ICT이해도 -업무처리역량: 능동적 경청, 비판적 사고, 자기모니터링과 타인모니터링 -사회관계역량: 협동능력, 감성지능, 협상력, 설득력, 서비스지향성, 타인교육훈련 능력 -시스템적 역량: 판단력.. 2020. 2. 7.
4차산업혁명시대 요구되는 능력은? 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시대 요구되는 능력은? 6. 4차산업혁명시대 요구능력 코딩(coding) 인간의 생각이나 의지하는 바를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능력 1) 정신-컴퓨터 언어 능력 필요: 컴퓨터 언어능력(코딩) 2) 노동에서 창조적 업종으로 전환 -창직, 창업 능력 3) 인간과 AI과 통합적 토론 및 정보정리능력 -하브루타, 독서토론 4) 소프트웨어 교육 소프트파워(soft power) 소프트웨어 가치를 중시, 끊임없는 혁신, 풍부한 상상력. 실패에서 배우자 두뇌의 합성화 -사물인터넷은 사물간의 소통. 해석 능력, 빅데이터 분석은 직관+ 디지털 기 술, 인공지능은 새로운 종족 등장, 5) 하브루타(독서토론)의 필요성 -과거 유대인들은 나라가 없어서 전문직 불가 -전문적인 지식을 전달.. 2020. 2. 6.